CISC, RISC

Etc 2017. 9. 23. 10:22

정보처리기사나, 컴활같은데 보면 무조건 중앙처리장치(CPU) 설계된 방식이 CISC, RISC 에 대한 내용이 항상 나온다. 아직도 정확하게는 잘 모르겠지만, 이 둘의 차이점을 정리하고자 한다. 내 생각인데 그냥 알고 있는거랑 한번 적어보는 거랑 뇌에서 받아들이는게 좀 틀린거 같다.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는 우리말로 복합 명령어 집합 컴퓨터라고 한다.( 우리말이 더어렵다.) 근데 글자 그대로 명령어가 컴플렉스 하니까 명령어를 해석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며, 명령어 해석에 필요한 회로도 복잡할 것이다. 비파이프라이닝 방식을 사용한다. 이 방식은 명령어를 하나씩 처리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명령어가 끝나야 다음 명령어를 처리 할 수 있는 방식이다.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는 축소 명령어 집합 컴퓨터 라고 한다. CISC에 비해 명령어 갯수를 줄여 하드웨어 구조를 간단하게 만드는 방식이다. 즉 실제로 쓰이는 몇개의 명령어만 집합시켜 구성한 것이다. CISC보다는 당연히 구조가 단순할 것이다. CISC와 반대로 파이프라이닝 방식을 채택한다. 거의 CISC 와 RISC는 서로 반대대는 특징을 가진다고 보면 이해하는데 수월할 것이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mory Mapped I/O  (0) 2017.09.24
데이지체인, 폴링 방식  (0) 2017.09.24
AGP(Accelerated Graphics Port), PCI  (0) 2017.09.23
NCQ(Native Command Queuing)  (0) 2017.09.23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 (HDD Interface)  (0) 2017.09.23
,